남천 제방 붕괴2.jpg

보 바로 직하류에서 남천 제방이 완전히 붕괴됐다. 수중보가 제방 붕괴의 직접적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논평]

4대강사업으로 홍수피해 줄었다고? 보가 오히려 홍수를 유발할 뿐이다

군위 남천 제방 붕괴 현장을 돌아보니, 홍수의 원인과 해법 보인다

<조선일보>는 엉터리 오보나 더 이상 양산하지 말고 사실 관계부터 정확히 확인하는 기본에 충실하길 바란다

 

태풍 카눈이 물러가자마자 <조선일보>또 둑 터진 지방 하천 ‘4대강사업한 낙동강 본류는 멀쩡이란 기사를 실으면서 4대강사업 맹신론을 이어갔다. 4대강사업 때문에 그간 낙동강 본류는 멀쩡했는데 환경단체와 야당의 반대로 4대강사업식 하천정비사업을 하지 않은 지류에서 제방이 붕괴되고 있다는 소리다.

 

<조선일보>가 둑이 터진 지방하천으로 대표적으로 언급한 것이 군위 남천이다. 12일 군위 남천을 찾아 자세히 살펴보니 제방이 터진 지점은 공교롭게도 수중보 바로 아래로 수중보에서 10미터 정도 거리에서부터 제방 붕괴가 일어났다. 그리고 보 위쪽과 보 아래가 하천의 폭이 달랐다. 보 아래부터 하천의 폭이 줄어들어 있었다. 말하자면 병목 구간인 셈이다.

 

즉 보로 인해 강물이 막혀 그 부분에서 수위가 일시 상승했고 그 상승한 물은 병목 구간을 통과해야 하니 수압이 더 강했을 것이고, 보 구간에서 2미터 이상의 높은 수위로 한꺼번에 넘어오는 강한 수압의 강물에 의해서 우안 오래된 제방의 약한 곳을 치면서 제방이 붕괴된 것으로 보인다.

 

즉 보와 오래된 제방 그리고 하천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서 일어난 제방의 붕괴인 것이다. 이처럼 보는 홍수를 유발하는 구조물이다. 홍수시 물의 흐름을 막아서 수위를 상승시키고 와류(소용돌이)를 일으켜 바로 옆 제방에 상당한 압력을 가하고 그 압력은 제방의 붕괴로까지 이어지게 하는 것이다.

 

<조선일보>가 주장하는 바처럼 4대강사업식의 하천 준설을 하지 않아 보 붕괴로 이어진 것이 아니라 보와 병목 구간 즉 하천의 구조적 문제로 남천 제방이 붕괴한 것이다. 즉 보가 문제의 중요한 한 원인이라는 점이다.

 

4대강 보 역시 낙동강 본류 제방을 위험에 빠트리고 실지로 제방을 붕괴시킨 사례가 존재한다. 지난 7월 말 장마 때 상주보의 경우다. 당시 상주보 바로 아래 좌안 제방의 일부가 주저앉으며 붕괴됐다. 당시 강물 수위가 올라온 만큼 상주보로부터 이어진 강한 와류에 의해서 제방이 붕괴됐는데, 수위가 더 올라왔다면 제방이 완전 붕괴될 뻔한 아찔한 상황이었다.

 

우안의 고정보 아래도 마찬가지로 고정보 아래 보를 지탱해놓은 콘크리트 블럭이 완전히 주저앉으며 붕괴했고, 바로 옆 어도를 따라 붕괴가 진행돼 제방으로 향해가다 붕괴는 멈쳤다. 이곳 역시 강물이 조금 더 불어났다면 제방까지 침식과 붕괴가 이어질 뻔한 아찔한 상황이었다.

 

3년 전인 2020년에는 낙동강 보가 완전 붕괴되는 일도 발생했다. 합천창녕보 상류 250미터 지점 좌안 제방이 당시 집중호우로 불어난 강물로 제방 30여 미터가 완전 붕괴된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이처럼 보로 인한 제방 붕괴 사고가 낙동강에서도, 낙동강의 지천에서도 일어나고 있는데도 <조선일보>에서는 4대강사업으로 즉 보 건설과 준설로 홍수 피해를 막아냈다는 주장을 계속 반복하고 있다. 지류엔 4대상사업식 준설공사를 하지 않아서 수해를 입었다 주장하고 있다. 이같은 <조선일보>의 주장은 새빨간 거짓인 것이다.

 

4대강사업으로 낙동강 합청창녕보 상류 제방은 2020년 붕괴됐고, 2023년에는 상주보 제방이 완전 붕괴될 뻔했다. 그리고 군위 남천의 제방은 2023년 완전 붕괴됐다. 이 모든 사고의 공통점이 바로 보로 인한 붕괴란 것이다 .

 

이처럼 강 안에 설치한 구조물은 홍수 피해를 가중시키고 하천을 더 위험하게 만들 뿐이다. 구조적 결함을 보이는 상주보도 남천의 보도 결국 해체해야 한다. 그래야 똑같은 홍수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차제에 이번 남천의 제방 붕괴는 하천의 병목 현상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남천의 경우 산지 아래 원래 하천의 영역이었던 땅을 개간해서 인간이 이용하고 있다. 그로 인해서 하천의 폭이 좁아져 수해를 키운 것으로 보인다. 궁극적으로 산지 아래 공간은 하천으로 돌려주는 식의 근본적인 하천 복원운동을 통해서 홍수 피해를 근원적으로 막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유럽 등 선진 하천정책을 펴는 곳에서는 ‘Room for river’라고 강의 땅을 돌려주는 운동이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다. 원래 강의 영역이었던 곳을 강으로 되돌려줌으로써 홍수터를 만들어 수해를 근본적으로 막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는데 그런 방식이 기후위기 시대의 집중호우를 대비하는 진정한 대안이 될 것이다.

 

<조선일보>가 쉽게 간과하고 있는 진실은 또 있다. 그동안 지류 정비를 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지금도 지류 정비를 위해 매년 1조씩 들여 끊임없이 지류의 하천공사를 벌이고 있다는 것이다. 4대강사업 구간은 300km에 불과하고 나머지 국가하천과 지방하천과 소하천 합치면 30,000km인데 어떻게 4대강과 나머지 하천의 홍수피해를 단순 비교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

 

또한 하천정비는 지류인지 본류인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치수는 중요한 곳, 취약한 곳을 먼저 보호하는 것이다. 지류 중에서 중요한 곳은 먼저 해야 하고 본류 중에도 중요하지 않은 곳은 나중에 해도 된다는 것이다.

 

<조선일보>는 이같은 진실을 꼭 명심하길 바란다. 그래야 4대강사업 후 4대강 본류 제방이 터진 적이 없다는 식의 이상한 오보를 더 이상 양산하지 않을 것이니 말이다. <조선일보>는 제발 기본에 충실하길 바란다.

 

 

2023.8.14.

낙동강네트워크 · 환경운동연합

 

문의 : 낙동강네트워크 정수근 집행위원장 010-2802-0776


[논평]조선일보는 더이상 엉터리 오보 양산하지 말고 기본에 충실하길 바란다.hwp


남천의 폭.JPG


침수된 지역.JPG


강의 영역.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