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수돗물 조류독소 백브리핑 반박 성명서]

환경부의 부실한 해명 재탕에 국민들 속만 타들어간다. 무사안일 환경부를 규탄한다!

 

 

13일 있었던 환경부의 수돗물 조류독소 백브리핑에 대해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입장을 표명한다. 환경부 발표는 기존 발표를 그대로 답습하는 것으로 전혀 새로울 것이 없다. 환경부의 부실한 해명 재탕 발표에 국민 속만 타들어간다. 오히려 우리는 환경부의 발표에 새로운 의문을 표한다. 우리는 환경부에 이에 대한 추가 해명을 요구하는 바이다.

 

환경부는 삼계, 덕산, 화명 3곳의 마이크로시스틴 농도가 ELISA보다 LC-MS/MS가 높게 나온 것을 특이사항이라고 했다. 그러나 마이크로시스틴 6종을 분석한 LC-MS/MS 분석값이 270여 종의 총 마이크로시스틴을 분석한 ELISA 값보다 높은 경우는 일반적이지 않다. 측정 오류 등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

 

환경부는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LC-MS/MS)으로 마이크로시스틴 6(LR, RR, YR, LA, LF, LY)을 분석했다고 밝혔으나 정작 결과 발표는 6종 총합을 공개하고 있어 각각의 검출수치를 공개해야 한다. 아울러 환경부가 공개한 6종 각각의 등가치를 적용한 수치인지에 대해서 밝혀야 한다.

 

환경부는 LC-MS/MS 분석 결과 대산정수장 원수에서 마이크로시스틴 6종 농도가 각각 0.059(23-24) ppb, 0.014(29) ppb 검출됐다라고 밝혔다. 대산정수장 원수는 다른 정수장과 달리 별도로 강변 여과지를 거친 원수다. 따라서 강변 여과 시설을 거쳐도 마이크로시스틴이 감소하지 않는다는 것을 환경부가 확인해 준 것이다. 이는 취수원 이전이 낙동강 문제 해결의 대안이 될 수 없다는 걸 의미한다.

 

○ 환경부는 ELISA법의 미국 EPA 표시한계(정량한계) 0.3 ppb를 거듭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환경단체가 반박했지만, 이 수치는 비전문가 대상이며, 전문가에 따라 변동 가능한 수치이다. 정작 국립환경과학원 작성 조류 독성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국립환경과학원은 ELISA의 측정한계를 0.1 ppb라고 밝혔다. 이 점만 보더라도 환경부의 주장이 왜곡되었음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환경단체가 의뢰한 전문가의 ELISA 키트는 환경부가 사용한 키트와 다르며 민간 전문가의 ELISA 키트의 성능이 월등하다는 것은 분명히 밝혔다. 그런데도 환경부는 이 점을 인정하지 않고 여전히 정량한계를 0.3 ppb를 운운하며 민간 전문가의 신뢰를 훼손하는 주장을 스스럼없이 하고 있다. 환경부는 어리석은 논쟁을 중단하고 로데이터 공개를 통하여 명명백백 규명하면 될 일이다.

 

그렇다면 환경부 역시 ELISA 정량한계 0.3 ppb로 쓰고 있다는 말이다. 환경부는 ELISA 정량한계 0.3 ppb에 머물러 있지 말고 숙련도를 높여서 시민단체 의뢰 전문가처럼 정량한계를 0.05 ppb까지 높여 총마이크로시스틴 농도를 꼼꼼히 측정할 필요가 있다.

 

원수의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문제 관련해, 미국도 원수 기준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있으나, 원수 농도에 따른 대책은 별도로 마련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와 차이가 있다. 특히 미국은 원수 관리에 집중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환경부는 원수 문제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환경부는 오늘 발표에서도 낙동강에서 고농도로 검출된 마이크로시스틴 문제에 대해서 언급을 회피했다. 뇌 질환 유발 BMAA와 실린드로스퍼몹신, 아나톡신 등 다른 녹조(남세균) 독소가 검출된 상황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았다. 수돗물 신뢰도는 정수 기술만의 문제가 아니라 상수원 원수에 대한 국민 불안과 행정 불신에서 기인하고 있다.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수돗물 신뢰도는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환경부는 이달 중 환경단체와 제3의 기관을 포함해 합동조사단을 꾸려 검증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낙동강 수돗물 녹조 독소 검출 논란이 7월 말 발생했다. 환경단체는 올해 2월부터 공동조사단을 꾸려 녹조 문제 전반을 공동으로 조사하자고 요구했다. 국민건강과 직결된 문제에 대해 환경부는 부처의 존립 이유를 망각했다. 이번 환경부의 뒤늦은 제안은 국감을 앞두고 마지못해 벌이는 꼼수다. 녹조 문제는 환경재난을 넘어 사회재난으로 번지고 있는 상황에 따라 환경단체는 환경부 제안을 수용할 예정이다. , 단기간 조사와 수돗물에 국한된 조사가 아닌 녹조 문제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공동 조사가 필요하다.

 

환경부 백프리핑에서 환경부와 함께 나온 충북대 교수는 일라이저 키트를 코로나 자가진단 키트와 비교했다. 이는 전문가의 견해라고는 도저히 봐주기 어려운 발언이 아닐 수 없다. 일라아저는 미국 EPA가 공인한 공식 조류독소 검출 방법이다. 일라이저를 코로나 자가진단키트와 비교하는 건 전문가의 전문성 부족을 스스로 드러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2022914

대한하천학회 / 낙동강네트워크 / 환경운동연합 / 대구환경운동연합

 

문의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생태보존국장 010-2802-0776, 환경운동연합 생명의 강 특위 이철재 부위원장 010-3237-1650, 낙동강네크워크 임희자 공동집행위원장 010-8267-6601, 환경운동연합 안숙희 생태보전국장 010-2732-7844


실험실1.jpg

이승준 교수



20220914 (최종2) 환경부 수돗물 조류독서 백브리핑 반박.hwp


20220913 환경부 수돗물 조류독소 백브리핑.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