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운하 백지화 총공세

<시민사회신문> 영남권 시민단체 투쟁본부 결성, 지자체 압박


※ 이 글은 <시민사회신문>6월 6일에 등록된 기사입니다.  
대구 = 김태용 기자

낙동강 운하가 한반도 대운하 추진의 한 구실이라는 의구심이 일고 있는 가운데 낙동강운하를 반대하는 영남지역 시민단체들이 ‘영남투쟁본부’를 결성하는가 하면 반대 대토론회를 개최하는 등 낙동강운하 백지화에 전방위적으로 나서고 있다.

운하백지화국민행동 부산본부, 경남본부, 대구본부, 경북본부, 울산시민행동 등 5개 단체는 지난 4일 부산에에서 ‘낙동강운하 백지화 영남투쟁본부(가칭)’ 를 결성식을 갖고 향후 공동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이들 단체는 최근 영남권 5개 시,도지사의 낙동강운하 조기 추진 공동 건의에 대해 “이는 시도민의 의견을 무시한 나홀로 묻지마 행정의 강행”이라고 비난하고는 “낙동강운하 조기 추진이 현재 이명박 정부의 국정 위기를 초래한 것에 대한 공동의 책임을 통감하고 국민과 영남지역 주민들에게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아울러 “영남권 5개 단체가 공동의 행동을 통해 반드시 백지화를 관철시키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지난 5일 ‘한반도대운하를 반대하는 대구경북교수모임’ ‘대구경북민주화교수협의회’ ‘운하백지화국민행동 대구, 경북, 부산, 경남본부’ 등은 한국방송광고공사 대구지사 세미나실에서 ‘낙동강 운하를 말한다’ 토론회를 열고 낙동강 운하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짚었다.
'낙동강 운하의 문제점과 영향'을 주제 발표한 박재현 교수(인제대 토목공학과)는 “낙동강 운하 찬성자들은 치수를 말하지만 결론적으로 낙동강 운하는 구미, 상주 등 최소한 4군데 이상에서 오히려 홍수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박 교수는 영남권 지자체들이 낙동강 운하 추진의 명분을 내세우고 있는 ‘홍수 피해 복구비용’ 문제에 대해서도 반론을 제기했는데, “홍수 피해 복구비용으로 운하사업을 하면 된다고 주장하지만 낙동강 홍수 피해는 대부분이 지천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본류보다는 오히려 지천 치수시설에 관심을 쏟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이의 일환으로 ‘천변지류지의 확대’를 주문했는데, “본류 주위에 천변저류지를 만들어 평상시는 농경지로 이용하고 우기 때는 저류지로 쓰면 유용한 홍수 방어 전략이 될 것”이라고 주장해 주목을 끌었다.

'낙동강하구둑과 경부운하 건설과 영남지역의 식수문제'를 발표한 박청길 부경대 명예교수(낙동강보존회 상임이사)는 “경부운하계획이 추진되어 높이 15m짜리 보를 낙동강 곳곳에 설치하게 되면 부영양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강물은 식수로 사용하기 어렵게 될 것.”이라고 지적하고는 낙동강하구둑 건설공사 이후의 사태를 예로 들기도 했다.

이밖에 한반도대운하반대 전국교수모임의 나간채 교수는 인사말을 통해 “운하의 문제점과 피해를 철저히 인식하고 생존력 있는 국토를 만들어 나가야한다”고 역설했고, 영남자연생태보존회 류승원 회장은 “낙동강 운하는 자연의 순응과정을 역행하는 행위인 만큼 반드시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