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신

각 언론사

발신

환경운동연합

(문의 : 김종원 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국 활동가 010-6837-1452 jogwonn@kfem.or.kr)

제목

[취재요청서] 낙동강 쌀에서도 발암물질·생식 독성녹조 독성 검출

날짜

2022. 3. 21

취 재 요 청 서

낙동강 쌀에서도 발암물질·생식 독성녹조 독성 검출

청산가리 100배 독성 마이크로시스틴, 낙동강 배추·무에 이어 쌀에서도 검출

프랑스 생식 독성(정자 수 감소) 기준 최대 20배가량 높아

일시 : 2022322() 오전 11

장소 : 환경운동연합 마당 (온라인 참여 : https://bit.ly/20220322기자회견)

주최 : 더불어민주당 양이원영 의원,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비례), 대구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 시민환경연구소

참석 : 더불어민주당 양이원영 의원,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비례) 임희자

낙동강네트워크 공동집행위원장, 곽상수 대구환경운동연합 운영위원장, 정수근

대구환경연합 국장

발언 순서

- 조사 취지 및 여는 말씀 : 양이원영 의원, 이수진 의원(비례)

- 조사 방법 및 결과 : 곽상수 대구환경운동연합 운영위원장

- 낙동강 현장 상황 브리핑 : 임희자 낙동강네트워크 공동집행위원장

- 기자회견문 낭독 : 안숙희 환경운동연합 국장

- 질의응답



낙동강 노지 재배 쌀에서도 청산가리 100배 독성의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이 검출됐다. 앞서 지난 2월 낙동강 배추·무에서 마이크로시스틴 검출된 바 있고, 이번 낙동강 쌀까지 함께 섭취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프랑스 생식 독성 기준의 20배가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322일은 세계 물의 날, 전 세계적으로 물의 소중함을 알리는 날이다. 불행히도 우리는 이날 우리 강이 건강하지 못하다는 증거를 제시할 수밖에 없다. 이런 현상이 이명박 정부 4대강사업 이후 만 10여 년 반복되고 있다. 이번 분석 결과 쌀에서 검출된 마이크로시스틴은 발암성과 간 독성뿐만 아니라 남성 정자 수를 감소시키고 여성 난소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생식 독성까지 띠고 있어 프랑스와 미국 주 정부 등에선 안전 기준을 엄격히 정하고 있다.

 

이번 기자회견은 더불어민주당 양이원영 의원,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비례), 대구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 시민환경연구소 주최로 진행한다. 분석은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에서 10여 년 동안 마이크로시스틴 등 녹조 독성을 조사했던 부경대 이승준 식품영양학과 교수가 맡아서 진행하면서 1차 효소면역측정법(ELISA kit)으로 분석 후 2차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MC-MS/MS) 방법으로 검증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민간단체 주최 네 번째 녹조 독성 결과 발표에 해당한다. 지난해부터 조사를 통해 낙동강 등 물속 고농도 마이크로시스틴은 그 자체로도 위험할 뿐만 아니라 농작물에 축적돼 한국인의 밥상이 위험하다는 것을 밝혀왔다. 이러한 녹조 조사 결과는 해외 연구와 같은 경향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정부의 특단의 대책을 촉구했다.

 

그러나 지난 2월 농작물 내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결과 발표 이후 정부 부처는 대책 마련보다 서로 책임 떠넘기기식으로 국민건강 문제를 외면하고 있다. 게다가 윤석열 당선인과 국민의힘은 대선 기간 녹조 독성을 키운 4대강사업을 계승하겠다는 태도를 보여 국민적 우려를 자아냈다. 이번 기자회견에선 분석 결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함께 윤석열 당선인과 인수위에 요구하는 사항도 함께 밝힐 예정이다.

 

기자회견 자료는 기자회견 시간(2022.03.22. 11)에 맞춰 배포할 예정입니다.

코로나 19에 따라 참석자 방역 수칙을 준수해서 진행하며, 온라인으로 생중계를 할 예정입니다.(https://bit.ly/20220322기자회견)

문의 : 환경운동연합 김종원 활동가(010-6837-1452),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국장(010-2802-0776), 임희자 낙동강네트워크 공동집행위원장(010-8267-6601), 김종술 오마이뉴스 시민기자(010-3372-6893), 이철재 시민환경연구소 4대강 전문위원(010-3237-1650)



본포양수장2.jpg

낙동강 녹조 물로 자라고 있는 논의 벼. 이 벼에서 생산된 쌀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