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캠페인 (1).jpg


미세먼지 캠페인 (2).jpg


미세먼지 캠페인 (3).jpg


미세먼지 캠페인 (4).jpg


미세먼지 캠페인 (5).jpg


미세먼지 캠페인 (6).jpg


미세먼지 캠페인 (7).jpg


미세먼지가 짙어지는 만큼 국민의 불안도 깊어만 갑니다 

환경운동연합과 54개 지역 환경운동연합은 ‘2022년까지 미세먼지를 절반으로 줄이기' 위한 전국공동행동을 나섰습니다. 세계 최대 석탄화력발전소 단지로 고통받는 당진을 비롯해 서울, 인천, 경기, 광주, 광양, 청주, 대전, 천안, 포항, 울산, 경남 등 전국 주요 도시에서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대구에서는 각 당사를 순회하며 1인 시위를 진행했습니다. 환경운동연합 7대 미세먼지 정책과 함께하는 시민들을 마음을 모아 19대 대통령에게 요구할 예정입니다. 미세먼지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운동연합의 활동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미세먼지 안녕온라인 서명 www.byedust.net



※별첨. : 환경운동연합_미세먼지_7대_정책제안_최종.pdf

 

----------------------------------------------------------------------------------------------------------------------------------


[환경운동연합 미세먼지 정책 제안]

“2022년까지 미세먼지 오염 수준을 절반으로

 

정책 추진 목표

환경운동연합은 19대 대선 후보들에게 차기 정부의 임기 내 미세먼지 오염수준을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목표(2015년 연평균 PM10 48/, PM2.5 26/㎥ → 2022년 연평균 PM10 30/, PM2.5 15/)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미세먼지 7개 정책을 제안합니다.

 

1. 미세먼지 관리 기준 강화 (WHO 권고기준 잠정목표 3단계로)

국내 미세먼지 기준은 세계보건기구 권고기준은 물론 주요국가 기준보다 허술합니다. 한국이 현재 채택하고 있는 세계보건기구의 ‘2단계 잠정목표’(연평균 PM2.5 기준 25/)에서 ‘3단계 잠정목표(연평균 PM2.5 기준 15/)’로 기준을 상향하고 전국적으로 미세먼지 관리 대책을 강화해야 합니다. 이는 미세먼지로 인한 사망 위험률을 2~11퍼센트나 낮추는 효과를 통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 보호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환경정책기본법을 개정해서 대기환경기준을 국제 수준으로 강화해야 합니다.

 

2. 대기환경보전법을 수도권대기환경특별법 수준으로 강화

전국 16개 시도 중 미세먼지 연평균 오염 상위지역은 충북, 강원, 전북, 경북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고농도 미세먼지 현상이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 수도권 중심의 미세먼지 관리 대책을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해야 합니다. 대기환경보전법을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특별법 수준으로 강화해야 합니다.

 

3. 석탄발전소 축소 및 신규 계획 중단

미세먼지 주요 배출원인 석탄발전소가 서해안, 남해안, 동해안에 계속 증설되면서 전국민의 건강 우려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미착공되거나 공정률이 낮은 9기의 석탄발전소 계획*을 전면 취소해야 합니다. 가동 중 석탄발전소에 대해선 가동률 제한 및 최고 수준으로 환경설비의 배출 기준을 적용하고, 노후 석탄발전소를 조기 폐지(30년 이상 25년으로 단축)해야 합니다.

*당진에코파워, 강릉에코파워, 고성하이, 포스파워, 신서천 등 석탄발전소 9

 

4. 자동차 교통수요관리 정책 강화

수도권 미세먼지 배출량 중에서 도로이동 오염원이 52.3퍼센트를 차지합니다. 자동차가 쉬면 사람과 도시가 숨을 쉽니다. 대중교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교통 수요관리 정책을 확대 강화해 대중교통은 편하고 안전하게, 자가용은 불편하고 비싸게 만드는 정책을 추진해야 합니다. 전국 대중교통 버스 차량의 연료를 디젤에서 친환경 연료로 전환하고 도심 내 경유 차량의 통행 진입에 대한 규제를 확대해야 합니다.

 

5. 어린이, 노인 등 취약계층 미세먼지 별도 기준 및 대책 수립

미세먼지로 인한 건강피해는 영유아와 어린이, 임산부, 어르신과 같은 건강취약 계층에 가장 심각하게 나타납니다. 영유아, 어르신이 생활하는 공용 공간(산후조리원,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경로당, 의원 등)의 실내 대기질을 특별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대기질 예보에 따라 보육교육기관에서 실외야외 활동을 실시하지 않도록 환경부와 교육부가 공조해야 합니다.

 

6. 산업 부문의 에너지 수요관리와 재생에너지 확대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 화석연료에 기반한 현재의 에너지 생산과 소비 구조를 바꿔야 합니다. 국내 에너지 소비의 최대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 부문에 대한 저렴한 전기요금을 현실화하고 에너지 효율 개선을 통해 저에너지 산업 구조로의 개편을 유도해야 합니다. 대기오염물질 관리 대상 사업장을 확대해 미세먼지 배출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해 보급 목표를 대폭적으로 상향 조정하고 발전차액지원제도와 같은 효과적 제도를 즉각 도입해야 합니다.

 

7. 동북아 공동연구를 통한 대기오염 상호영향의 과학적 규명

한국과 중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국가간 대기오염 상호영향을 과학적이고 투명하게 규명할 수 있는 공동연구가 가능하도록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공동연구 결과를 토대로 동북아 국가들이 미세먼지 대책을 최우선의 과제로 논의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협의 및 이행하도록 해야 합니다.